• 북마크
타입문넷

자유게시판

현실에서의 역수검...

본문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허세입니다.


사실 쓸 수 있는 상황이 있기는 있는데 상당히 제한되어 있는 용도죠.



일단 단검으로 쓰는 역수검은 상당히 좋은 기법입니다. 쌍단검으로 쓸 경우에 검술에는 문외한이지만, 복싱과 같은 맨손 격투술에 조예가 있는 사람은 역수로 검을 잡으면 맨손 무술로 타격기 하는 것과 비슷하게 사용할 수도 있고, 한손 단검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나머지 한손으로 관절기를 걸면서 그래플링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끝!!



네, 아니 진짜로요... 검을 역수로 잡아서 정수로 검을 잡았을 때에 비해 장점이 생기거나 정수로 검을 잡았을 때와 비슷한 수준의 효용이 나오는 건 저게 답니다. 좀 짧은 소검이라면 단검과 비슷하게 운용할 수 있겠네요.



장검이요? 초보자가 쓰면 개허세고, 숙련자가 쓰면 '넌 내가 이렇게 싸워도 나한테 안 된다'고 자랑하는 거나 마찬가지인 겁니다. 기껏해야 올려베기랑 팔 바깥쪽 괘적을 타고 베기가 정수 베기보다 조금 더 편해지는 정도인데, 일단 바깥쪽 괘적을 타고 오는데서 아웃입니다. 파괴력이 딱히 더 강해지는 것도 아닌데 이 자세로 베려면 몸이 활짝 열려요. 검술 좀만 잘 하는 상대와 붙기만 해도 저런 자세는 '고통없이 빨리 죽여주세요.' 수준입니다. 상타를 통한 동귀어진을 기대하기도 어려워요. 아래에서 올려베기는 조금 상황이 낫지만... 사거리가 짧아진다는 점은 어차피 마찬가지고, 완전 수직으로 올려베는 거라면 모를까, 대각선으로 올려베는 거라면 딱히 정수로 쥐었을 때에 비해 나을 게 없습니다.



가장 최악의 역수는 장검 쌍검을 사용할 때죠. 이건 진짜 쌍검의 장점을 완벽하게 죽이는 바보짓입니다. 일단 검은 방패가 아니기 때문에 역수인 팔을 방패를 든 팔처럼 활용하면 그 팔에 큰 피해를 입습니다. 칼로 막아내도 막은 팔의 일부가 상대의 검에 닿기 때문에 계속 그 팔에 피해가 누적됩니다. 거기다가 양손을 역수 쌍검을 하면... 공격할 때 어떻게 하도 몸 가운데가 빕니다. 기본적으로 검을 사용하는 방어법은 '검 뒤에 몸을 숨긴다'는 표현이 있는데, 쌍검을 역수로 하면 그게 불가능해집니다. 또한, 쌍검의 최대 장점은 동시에 공격과 방어를 하거나 다른 방향에서 복잡한 공격을 할 수 있다는 점인데, 양손이 역수이면 두 손 다 쓸 수 있는 괘적이 한정되고 단순해지기 때문에 이 이점이 완전히 사라집니다. 이러한 약점은 한손 정수 한손 역수로 잡아도 마찬가지죠.





요즘 마영전에 역수검 캐릭터인 아리샤도 나오고 해서 뜬금없이 생각나서 적어봤습니다. 다시 한 번 결론내리자면, 역수검은 그냥 매체에서 자세가 멋있으니까 쓰는 캐릭터가 있는 거지, 현실에서는 거의 쓸 일이 없습니다.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검술 중에 유독 역수 장검술만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게 옛날 사람들이 '역수검'이라는 자세를 생각하지 못했기 때문은 아니라는 거죠.
  • 3.6Kbytes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43

psyche님의 댓글

profile_image
중2병 아저씨들은 대부분 나이프 역수니까 괜찮겠군요<img src="/cheditor5/icons/em/em4.gif" alt="" border="0" style="width: 50px; height: 50px; margin: 1px 4px; vertical-align: middle" />

노아히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그 사람들은 쓰는 법이 잘못 되었잖아요!!<img src="/cheditor5/icons/em/em13.gif" alt="" border="0" style="width: 50px; height: 50px; margin: 1px 4px; vertical-align: middle" />&nbsp;영화 '아저씨'처럼 붙잡고 꺾으면서 쓰면 모를까 그냥 그걸로 장검처럼 베는 작자들을 현실에서 어디다 쓰라구요?!?!?!

psyche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멋있잖아요~<img src="/cheditor5/icons/em/em15.gif" alt="" border="0" style="width: 50px; height: 50px; margin: 1px 4px; vertical-align: middle" />

노아히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아, 그건 인정합니다... 역수 사용이 정수 사용에 비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장점이죠.<img src="/cheditor5/icons/em/em6.gif" alt="" border="0" style="width: 50px; height: 50px; margin: 1px 4px; vertical-align: middle" />

슬레이드님의 댓글

profile_image
단검을 해머그립으로 잡고 찍으면 모를까 장검이면 뭐... <img border="0" src="/cheditor5/icons/em/em1.gif" style="width: 50px; height: 50px; margin: 1px 4px; vertical-align: middle" alt="" />

노아히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어째서인지 우리나라 온라인 게임에서는 장검 역수가 단검 역수보다 많은 것 같기도....;;

나야님의 댓글

profile_image
뭐 실전이나 무술이나 그런거랑은 관계없는 이야기지만

<div>칼로 사람에게 상해를 입혔을 때 역수로 쥐고 있었으면 정수로 쥐고 있었을 때보다 형량이 크다고 고교시절 사회선생님(...)이 그러더군요.</div>

<div>고의성이 크다나 뭐라나</div>

노아히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저도 예전에 얼핏 그런 풍문을 들었는데.. 요즘에는 그게 정말일까 하는 의구심이 듭니다... 형법을 본 적이 없으니 맞는지 틀린지는 모르겠구요.

사리게나쿠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역수로 쥔다 함은 내리찍는다는 이미지가 강해서 그렇지 않을까요?<br />

반인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div>어,&nbsp;제 윤리선생님(...)한테서 들은 말이랑 정반대네요.</div>

<div>역수로 내리찍는 건 팔을 잡아서(?!)&nbsp;막을 수 있는데, 그냥 찌르는 건 맨몸으로는 막을 수단이 없어서 형량이 더 크다고 하시더군요.</div>

드릴레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일반적인 단검쥐는 형태는 갑작스런 상황에선 쥘 수도 있는 방법이니 덜하지만 역수로 쥐는건 상대를 죽이려고 작정한 거로 판단되기에 더 형량이 셉니다. (애초에 일반적으로 잡는 형은 보통 얇게 베어낸다지만 역수는 더도말고 덜도말고 찍어 내리는 형태기에....)

안구의쓰나미님의 댓글

profile_image
...단검은 몰라도 장검은 진짜 아닌데...

노아히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그런데 매체 보면 장검 역수가 은근히 인기가 있죠.<img src="/cheditor5/icons/em/em18.gif" alt="" border="0" style="width: 50px; height: 50px; margin: 1px 4px; vertical-align: middle" />

한걸음님의 댓글

profile_image
아리샤는 검을 제대로 들고나왔야했어요... 4 5타 스매쉬 손목꺾임이...!

노아히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사실은 마법으로 손목의 유연성을 극한으로 늘린 걸 겁니다?!

TZ님의 댓글

profile_image
<div>장검가지고 역수 하는건 허세이지만 단검 가지고 역수로 하는 경우는 우발적인 경우가 많다고 들었습니다.</div>

<div>뭐, 소위 기술자라는 자들중에는 껴안아서 못도망가게 잡고 등짝털이할때 역수를 쓰기도 한다더군요.</div>

<div>&nbsp;</div>

Astas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기습적으로 백허그 후 입막고 폐를 털어버린다던가.. 뭐.... 그런 용도라면 모를까요..&nbsp;

에른스트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하긴 그용도면 많이 보이기는 하더군요?(파크라이3에서 일반암살하면 그렇게 암살하는(뒤에서입틀어막으면서 역수로 잡은 칼(마체테나 일본 단검이나 그지역 단검)로 가슴이나 목아래를 앞쪽에서부터 찌르는)경우도 많으니...

Wcipe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입을 막는다는게 입맞춤으로 막아버리는 거라고 해석해 버렸습니다.<br /><br />.....내가 이렇게나 썩었다....<img border="0" src="/cheditor5/icons/em/em17.gif" style="width: 50px; height: 50px; margin: 1px 4px; vertical-align: middle" alt="" /><br />

헬카이트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div>제친구 TRPG할때가 생각나는군요</div>

<div>여마법사가 주인공에게 파워워드까지할때 달려가서&nbsp;입을 맞추어버렸죠</div>

<div>그다음 내용은 생략</div>

스핀님의 댓글

profile_image
식칼은 역수가 더 깊게 꽂힐거같긴하네요.

아를님의 댓글

profile_image
저에게 역수검의 로망은 타이의 대모험의 아방 스트랏슈부터 시작되었죠...

안구의쓰나미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그러고보니 아방 스트랏슈가 장검으로 쓰던거였던가...

무렴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아발류 살법은 검, 창, 클로, 활, 채찍, 도끼의 여섯 가지 무기류가 다 대응돼서 검이 아니라도 가능할 겁니다.



<div>일단 창(사실 봉에 가깝지만)으로 아방이 쓰기는 했었는데... <strike>활로 쓰면 무형시라도 쏘나?</strike> <strike>도끼도 역수로 쓸 지도</strike></div>

소울오브로드님의 댓글

profile_image
그러고보니 군대 나이프 파이팅에는 역수로 잡고 싸우는 방법도 있다던거 같던데. 잘못들은건가.

한걸음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단검은 괜찮다고 본문에 써두셨네요.

천은하님의 댓글

슈이네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옛날엔 멋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옛날에는 말이죠.

유령p님의 댓글

profile_image
아방 스트랏슈는 로망이죠. <br /><strike>물론 현실은 시궁창. </strike><br />

아르딘님의 댓글

profile_image
<strike>창세기전 3 살라딘 : 시반슈미터 시절의 나를 까는 글인건가!!!</strike>

<div><strike>버몬트 : 쌍검 역수에 털린 나도 까는 글인건가!!(실력차가 그만큼 끔찍하게 난거겠지)<br /></strike>

<div><br /></div>

<div>뭐, 액션 장면이 아니라 포즈만 취하는 걸로 보면 역날 쌍수가 폼은 정말 잘 나니까요.(...)</div></div>

NARIKRI님의 댓글

profile_image
소태도같이 좀 짤막한거면 몰라도 진짜 장검은 물론 대태도가지고 그러면 어허허 어허허허....

Greed한님의 댓글

profile_image
사실..단검도 용도가 은근히 제한되지 않던가요..흠?

<div>본문처럼 복싱같은 격투기를 배웠다면 위협범위의 증가는 가능할듯하긴한데...?</div>

<div><br /></div>

<div>마영전 신케..오픈되었나요..흠!?</div>

엘네이라님의 댓글

profile_image
역수검이 가장 효율적일때는 나이스보트 처럼 위에 올라타서 찍는거 말고 있을까요?

gray님의 댓글

profile_image
쓰는 근육 자체도 다르지요.

<div>칼을 바로 잡고 휘두른다고 한다면 보통 위에서 아래로 베거나 안에서 밖으로 휘두르는데 이 동작은 등쪽의 근육(특히 넓은 등근-광배근)을 주동근으로 사용하고</div>

<div>밖에서 안으로 휘두른다면 가슴쪽 근육(큰가슴근-대흉근)을 주동근으로 사용합니다.</div>

<div>인간의 근육 자체가 등쪽 근육들이 더 크고 큰 힘을 내지요.&nbsp;</div>

<div>역수로 쥐면 등쪽 근육보다는 가슴쪽 근육의 사용비율이 더 큽니다. 아무래도 힘 자체가 딸리지요.</div>

<div>역수를 제대로 쓰려면 내려찍는 방법이 가장 효율적입니다.</div>

<div><br /></div>

<div>물론 상황이나 주위 환경에 따라, 혹은 심리적 요인등을 적용하면 역수가 유리할 때도 있겠습니다만 지극히 제한적이라 생각합니다.</div>

마미교신도님의 댓글

profile_image
넘어진 사람을 찍을때는 예외죠.

stLyu님의 댓글

profile_image
아리샤는 애초에 한손으로 마법쓰는 캐릭터인데 다른 한손으론 역수검을 쓴다고 뭐라 지적할 필요가 있나 싶네요;;; 양손 모두 마법의 개념으로 이해하면 되죠.

노아히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아리샤는 그냥 역수검에 대해 생각나게 한 매개체일 뿐, 딱히 뭐라고 지적할 생각은 없습니다. 오히려 퓨리 쓸 때 뜬금없이 칼 하나를 역수로 바꿔쥐는 리시타를 더 까야죠..(리시타 퓨리 배율이 낮은 이유...)

청풍靑風님의 댓글

profile_image
역수검을 사용하는 동작이 있냐 없냐, 라고 한다면 명확히 있습니다.

<div>사용하는 이유도 따로 있고요.</div>

<div>다만 역수로만 이뤄진 검법은 지금까지 한번도 본적 없습니다.</div>

<div>역수로 이뤄진 동작이 있는 이유는 칼을 몸에 가리는 것이 주된 이유입니다.</div>

<div>장검裝劍이라고하는데 정수에서도 칼을 몸으로 가리는 동작이 많지요.</div>

<div>이걸 제외하고 역수를 사용하는 것은 마무리 동작에서나 사용됩니다.</div>

<div>실제로 써먹으라 그러면 격검중 의외성을 이용한 것으로 어쩌다 한동작 사용할만은 한데 주로 사용할 녀석은 못됩니다.</div>

<div>쌍검에서 역수와 정수를 바꿔가면서 사용해봤는데 상대방 칼을 긁어내릴때는 조금 쓸만하긴하지만 한쪽의 검로가 한정되는게 계속 사용한다면 검로가 얽혀서 문제가 되더군요. 쌍검의 정수는 빠르고 연속적이며 화려한 것이 특징입니다. 검로가 얽혀버리는건 안쓰느니만 못해지죠.</div>

<div>예컨데 발검, 발도술과 같은 느낌의 녀석입니다. 썼다 바꿔썼다 하는건 이해되는데, 역수만 사용하는건 솔직히 말하면 판타지입니다.</div>

OmegaZero님의 댓글

profile_image
<strike>아, 그래서 나나야가 나나츠요루를 역수로 쥐는구나...</strike>확실히 장검으로 역수 잡는 건... 폼잡으려고 하는 것 이외엔 효율적이지 않은 것 같습니다.

뇌명낙안님의 댓글

profile_image
근데 이건 좀 있지안나요? 장검정수 단검역수 특히 서양의&nbsp;르네상스 시대의&nbsp;레이피어 검술로는 비어있는 왼손에 뭐라도 들고 싸우는데 이때 가능하면 단검하나라도 들고 싸우는 것을 권했다고 들었는데... 물론 요건 공격용이 아닌 완전 방어, 견제용이지만.

노아히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그 경우에도 단검이 정수에 비해 역수로 든다고 해서 딱히 큰 장점이 없을 뿐더러(장검 때문에 완전 검술 체제로 들어가야 하는데, 단검으로 역수를 잡는 건 체술과 비슷한 메커니즘으로 쓰는 데서 이점이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단검 역수의 장점이 완전히 사라집니다.) 만약 단검이 정수고 장검이 역수면 지읒 되는 거죠.

UNIOS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인장처럼 남자는 쓸모없는 것이라고 알아도 써야만 합니다...!

노아히님의 댓글의 댓글

profile_image
<img src="/cheditor5/icons/em/em11.gif" alt="" border="0" style="width: 50px; height: 50px; margin: 1px 4px; vertical-align: middle" />남자란 얼마나 바보 같은 생명체인가!!
전체 108,152 건 - 1 페이지
제목
레벨 롸君 3,984 3 2021.05.03
레벨 광황 76,838 2 2018.04.11
레벨 롸君 5,065 33 2021.02.21
레벨 망상공방 2,918 5 2021.05.25
레벨 몽환자매 3,072 7 2021.05.25
레벨 Novellist 2,906 6 2021.05.25
레벨 철사맨 1,993 3 2021.05.25
레벨 Rhyneid 2,239 7 2021.05.25
레벨 오메가 3,015 5 2021.05.25
레벨 TZ 3,605 6 2021.05.25
레벨 비겁한 2,909 2 2021.05.24
레벨 mooni 4,046 7 2021.05.24
레벨 귀염둥이 1,780 3 2021.05.24
레벨 psyche 3,007 4 2021.05.24
레벨 메르수 2,593 5 2021.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