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pen('c:/doit/원본.txt', 'r', encoding='utf-16')
r=open('c:/doit/어절 빈도 통계.txt', 'w', encoding='utf-16')
data=f.read()
data2=data.split()
count={}
for word in data2:
if word in count:
count[word] +=1
else:
count[word] = 1
for key in count:
r.write("%s: %d" % (key,count[key])+"\n")
print("작업완료")
r.close()
이 스크립트가 정상적으로 작동은 하는데, 그 원리를 몰라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문자열, 리스트형을 배울때 분명 'if x in y:'라고 가정하면, y라는 집합안에 x라는 미지수가 있는걸로 이해를 했습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다섯번째 줄 '
count={}'는 딕셔너리에 아무것도 없는데, 어떻게 if word in count:가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는 건가요?
뭔가 딕셔너리 안에 원소가 있어야 찾을 수 있는 거 아닌가요?